"보리" 1*0.7
"보리"를 사용하여 작업한 보왕삼매론

 

한글로 새긴 "보리(菩提)"는

불교에서 고타마 붓다와 그에게 가르침을 받은

나한들이 얻었다고 하는 깨달음, 또는 그 깨달음을 얻기 위한

수행 과정을 일컫는다.

 

보왕삼매론 45*45
"보리" 위 작품에 사용한 도장

 

보왕삼매론(寶王三昧論)을 한글서예 민체로 작업하였다.

 

보왕삼매론은 불교에서 수행 중에 나타나는 10가지 큰 장애를 이기는 수행법을 말한다.

중국 원나라 말기부터 명나라 초기까지 활동하였던

승려 묘협妙叶 스님이 집필한 저서인 22편 분량의 불서 중

보왕삼매염불직지의 제17편에 실린 십대애행十大碍行의 구절이

일반 불자들에게 전파되어 현재의 보왕삼매론이라 한다.

 

한글로 새긴 "보리(菩提)"는

불교에서 고타마 붓다와 그에게 가르침을 받은

나한들이 얻었다고 하는 깨달음, 또는 그 깨달음을 얻기 위한

수행 과정을 일컫는다.

 

 

 

「보왕삼매론」 

 

1. 몸에 병 없기를 바라지 마라. 몸에 병이 없으면 탐욕이 생기기 쉽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병고로써 양약을 삼으라」하셨느니라.

 

2. 세상살이에 곤란 없기를 바라지 마라. 세상살이에 곤란이 없으면 업신여기는 마음과 사치한 마음이 생기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근심과 곤란으로써 세상을 살아가라」하셨느니라.

 

3. 공부하는데 마음에 장애 없기를 바라지 마라. 마음에 장애가 없으면 배우는 것이 넘치게 되나니, 그래서 성현이 말씀하시되 「장애 속에서 해탈을 얻으라」하셨느니라.

 

4. 수행하는데 마(魔) 없기를 바라지 마라. 수행하는데 마가 없으면 서원이 굳건해지지 못하나니, 그래서 성현이 말씀하시되 「모든 마군으로써 수행을 도와주는 벗을 삼으라」하셨느니라.

 

5. 일을 꾀하되 쉽게 되기를 바라지 마라. 일이 쉽게 되면 뜻을 경솔한데 두게 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여러 겁을 겪어서 일을 성취하라」하셨느니라.

 

6. 친구를 사귀되 내가 이롭기를 바라지 마라. 내가 이롭고자 하면 의리를 상하게 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순결로써 사귐을 길게 하라」하셨느니라.

 

7. 남이 내 뜻대로 순종해 주기를 바라지 마라. 남이 내 뜻대로 순종해 주면 마음이 스스로 교만해 자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내 뜻에 맞지 않는 사람들로써 원림(園林)을 삼으라」하셨느니라.

 

8. 공덕을 베풀려면 과보를 바라지 마라. 과보를 바라면 도모하는 뜻을 가지게 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덕 베푼 것을 헌신처럼 버리라」하셨느니라.

 

9. 이익을 분에 넘치게 바라지 마라. 이익이 분에 넘치면 어리석은 마음이 생겨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적은 이익으로써 부자가 되라」하셨느니라.

 

10. 억울함을 당해서 밝힐려고 하지 마라. 억울함을 밝히면 원망하는 마음을 도웁게 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억울함을 당하는 것으로 수행하는 문을 삼으라」하셨느니라.

 

이와 같이 막히는데서 도리어 통하는 것이요 통함을 구하는것이 도리어 막히는 것이니, 이래서 부처님께서는 저 장애 가운데서 보리도를 얻으셨느니라.

 

 

궁체 반흘림 작품
전각 작품

 

 

민체 작품

 

 

 

「어느 봄날」 (황베드로 동요에서)

돌배꽃 꽃잎에 싸여

어느새 잠이 든 낮달

잠 깨워 데려갈 구름 없어

꽃 속에 낮잠을 잔다

꿀벌아 멀리멀리 가거라

선잠 깬 낮달이 울면서

멀리 떠날라

돌배꽃 꽃잎에 싸여

어느새 잠이 든 낮달

잠 깨워 데려갈 구름 없어

꽃 속에 낮잠을 잔다

 

 

2024년 제63회 갈물한글서회 회원전에 출품하기 위하여

궁체 반흘림으로

황베드로 동요 「어느 봄날」에서 글감을 얻어 작품을 마무리 지었습니다

 

먼저 작업해 두었던 민체 작품도 함께 게시합니다~~^^

 

 

 

 

     

 

 우청雨靑 임인선林仁仙

       solthl@hanmail.net

 

      현재

      · 대한민국서예대전 초대작가 및 심사역임

      ·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 기념공모전 초대작가

      · 송파청소년센터(성인부) 한글서예 강사

      · 한국서예협회 회원, 갈물한글서회 회원

 

      전시

      · 한국서예협회 초대작가전(2009~현재)

      ·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기념공모전 초대작가(2009~현재,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

      · 갈물한글서회전(1998~현재) 등등 전시

 

      도서출판

      ·한글궁체 옥원중회연자전2005, 다운샘

      ·역주 옥원중회연212007, 다운샘

      ·역주 구운몽2008, 다운샘

      ·역주 십이봉기(공역) 2009, 다운샘

      ·역주 완월회맹연(공역) 2010, 다운샘

      ·궁체대자전2011, 다운샘

      ·역주 동의보감(공역) 2011, 다운샘

      ·순원왕후편지글(공역) 2013, 다운샘

      ·한국 근현대210(공편) 2016, 다운샘

      · 한글서예작품집묵향 담은 한글서예(공저) 2017, 다운샘

 

       작품소장처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관(2008)

      · 서울대학교 규장각(2010)

      · 오색빛깔 단청(2010, 책 제목 題字)

      · 내 마음의 화첩(2013, 책 제목 題字)

 

김소월 님의 산유화 중에서 30*30
산유화 한글전각

 

산유화(김소월)

 

산에는 꽃 피네

꽃이 피네

갈 봄 여름 없이

꽃이 피네

 

산에

산에

피는 꽃은

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네

 

산에서 우는 작은 새여

꽃이 좋아

산에서

사노라네

 

산에는 꽃 지네

꽃이 지네

갈 봄 여름 없이

꽃이 지네

 

 

 

 

2022, 한국서예협회 제13회 초대작가전에 출품하기 위하여

 

김소월 님의 시 「산유화」를 글감으로 민체와 전각으로 작업하였다!!

 

이번 작품은 小字 글씨를 권장한 소품(작품규격 30*30/30*21 중 선택)으로

 

꽃이 피어있는 산의 풍경을 채색하여 표현해 보았다 

 

 

 

 

 

제13회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

주제: 자연을 품다(回歸自然)

일시: 2021. 11. 05 ~ 12. 05

장소: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전북예술회관 등 14개 시 · 군

 

 

2021년 11월 17일 고속터미널에서 오전 7시 30분 고속버스를 타고 전주로 향했다

전주에 도착한 우리는 택시를 타고 한국소리문화의전당에 도착하여 전시장으로 들어갔어요

전시장은 관람자들로 활기가 꽉 차 있었고~

마침 전시 해설사님의 안내를 받으며

전시된 작품들의 동선을 따라 세세한 설명을 들으면서

차근차근 관람을 시작하였답니다

 

 

 

'작은'대작(大作)전 작품들은 1층 전시실 안쪽에 DP되어 있어

부족한 졸작 앞에 서니 왠지~~

 

2층의 작품도 해설사님의 도움을 받아가면서 아주 유익하게 관람했구요~~

 

 

작품마다의 설명을 정말 잘 해 주셔서 유익한 관람이 되었기에

해설사님께 감사의 인사를 드리고 

나머지 작품들을 돌아보고

점심을 먹기위해 성미당으로 이동하였답니다

전주에 왔으니 전주의 대표음식 중 하나라 할 수 있는 비밤밥을 먹기 위해서죠!!!~~

 

 

비엔날레를 관람하러 전주에 올 때마다 일행들께 거의 성미당 비빔밥을 추천하여

맛있게 먹었던 기억과

일찍 서둘러서 제대로 아침식사도 못한 탓도 있어서인지

옛 맛의 기억을 되새김질 하면서

맛있게 밥그릇을 비우고 느긋하게 커피도 한잔 마셨답니다~~^*^

 

점심식사를 마치고 전북예술회관으로 옮겨 다시 관람을 시작했어요

 

 

마지막으로 기념공모 초대작가 작품을 관람했구요~~

 

관람을 마치고 다시 고속버스를 타고 서울로 올라와 

오늘 일과로 얘기를 나누면서 즐겁게 늦은 저녁을 먹고

행복하게 하루를 마무리하였습니다

 

 

 

 

사랑가(2)  18*25
위의 작품에 사용한 전각

 

 

 

『춘향전』「사랑가」 중에서(2)

 

어허둥둥내사랑

이리보아도내사랑 저리보아도내사랑

둥둥내사랑내사랑이지 

 

 

 

~*~*~*~낯설게 하기~*~*~*~

한글서예와 전각의 collaboration

 

 

 

『춘향전』「사랑가」 중에서(2)

 

"둥둥"

 

춘향전 사랑가를 작품하기 위해 새긴 "둥둥" 한글전각 작품~~

 

 

위의 작품에 사용한 전각작품

 

『춘향전』「사랑가」 중에서(1)

 

어허둥둥내사랑

이리보아도내사랑 저리보아도내사랑

장래진사를모신듯 장래급제를모신듯

교리수찬을모신듯 참의참판을모신듯

육조판서를모신듯 삼정승을모신듯

기사당상을모신듯 둥둥내사랑

동정야월달 밝은데 무산같이 높은사랑

낙목무번수여천에 창해같이 깊은사랑

삼오신정맑은밤에 무산천봉완월사

랑증경학무의하을적에 차문취소하든사랑

주루락일전엽간에 도화리개 오든사랑 둥둥내사랑

둥둥내사랑내사랑이지 이리한참노일적에

창밖에황개수닭이 두나래를툭툭치며꼭기요우는소리

사요나라

 

 

2021. 한국서예협회 회원전 출품

 

 

 

~*~*~*~낯설게 하기~*~*~*~

한글서예와 전각의 collaboration

 

 

 

『춘향전』「사랑가」 중에서(1)

"둥둥"

 

춘향전 사랑가를 작품하기 위해 새긴 "둥둥" 한글전각 작품~~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