書藝
붓을 이용하여 文字를 소재로 작가의 감정을 표현하는 동양특유의 조형예술.
書體
⑴. 한글서예
①. 궁체 - 정자, 흘림, 진흘림.
②. 판본체 - 정자, 흘림.
③. 민체 - 정자, 흘림, 진흘림.
⑵. 한문서예 - 篆書, 隸書, 楷書, 行書, 草書.
이 용어들은『표준국어대사전』에서 풀이하고 있는 한문서체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한글서체의 객관적인 명칭이나 용어의 분류에도 도움이 되겠기에 정리하였다.
· 정자(正字): 서체가 바르고 또박또박 쓴 글자.
· 해서(楷書): 한자 글씨체의 하나. 예서에서 변한 것으로, 똑똑히 정자(正字)로 쓴다. 중국 후한의 왕차중
(王次仲)이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 반정자(半正字): 정자체에서 조금 흘려 쓴 글씨체. 정자체에 가까운 것과 흘림체에 가까 운 것의 두 종류
가 있다.
· 반해(半楷): 해서(楷書)보다 조금 더 부드럽게 뾰족뾰족한 것이 없도록 행서(行書)에 가깝게 쓰는 글씨
체.
· 행서(行書): 십체(十體)의 하나. 해서와 초서의 중간에 해당되는 것으로 획을 약간 흘려 쓴다.
· 반행(半行): 행서(行書)보다 조금 더 부드럽게 흘려서 반흘림에 가깝게 쓰는 글씨체.
· 반흘림(半-): 행서(行書)와 초서(草書)의 중간정도로 흘려 쓰는 글씨체. =반초(半草).
· 반초(半草)=반흘림.
· 흘림=초서(草書).
· 초서(草書): 십체(十體)의 하나. 필획을 가장 흘려 쓴 서체로서 획의 생략과 연결이 심하다. 전서(篆書),
예서(隸書)를 간략히 한 것으로 행서(行書)를 더 풀어 점획을 줄여 흘려 쓴 것인데, 초고(草稿)
따위에 쓴다.
· 광초(狂草): 심하게 흘려 쓴 글씨체.
궁체(宮體)
조선 시대에, 궁녀들이 쓰던 한글 글씨체. 선이 맑고 곧으며 단정하고 아담한 점이 특징이다. 국립국어연구원 편『표준국어대사전』
문방사우
⑴. 종이
①선지(縇紙): 중국 안휘성(安徽省) 선성(宣城)과 경현(涇縣) 등지에서 만들어진 종이.박달나무 껍질
로 만들어 흡수성이 강하고 내구성이 좋아 서화용 종이로 가장 많이 사용.
②면지(棉紙): 연습용으로 사용.
③고려지(高麗紙):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선지.
④모변지(毛邊紙)
⑵. 붓
①낭호(狼毫): 이리나 족제비털로 만든 붓.
②자호(紫毫): 토끼털로 만든 붓.
③양호(羊毫): 양(흰 염소털)털로 만든 부드러운 붓. 가장 많이 사용된다.
④겸호(兼毫): 강하고 유연한 강유성(剛柔性)과 부드럽고 강한 연경성(軟哽性)을 겸하 고 있는 붓.
⑶. 벼루(생산지에 따른 분류)
①단계연(端溪硯): 전체가 자색(紫色)이며 윤기가 있고 자연적인 문양을 이루면서 돌 눈이 있다.
②섭주연(歙州硯): 흑청색으로 비단결 같은 무늬가 있다.
③징니연(澄泥硯): 미세한 진흙을 구워서 만듬.
④해주연(海州硯)
⑤종성연(鍾城硯): 우리나라의 벼루로 정판암으로 만든 것으로 돌 빛이 새까맣고 단 단하여 상품에 속
함.
⑷. 먹
①송연묵(松煙墨): 소나무 송진을 태워 그 그을음에 아교(동물 가죽이나 생선의 내장 등을 고아서 얻은
접착제)와 약재 그리고 향료를 배합하여 만든다. 먹색은 검지만 광택이 적은 것이 결
점, 그러나 그윽하고 고아한 맛이 뛰어나다.
②유연묵(油煙墨): 오동나무 씨로 짠 기름이나 삼 씨로 짠 기름 또는 채소의 씨앗으로 짠 기름을 태워서
그을린 재에 아교와 사향(麝香) 그리고 얼음조각과 기타 향료를 섞어서 만든다. 이
먹의 특징은 먹색이 검고 윤기가 있다.
③양연묵(洋煙墨): 석유계통의 유류나 또는 석탄을 태운 가스의 그을음을 주원료로 만든다.
집필법
⑴. 단구법(單鉤法):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잡는 방법.
⑵. 쌍구법(雙鉤法): 엄지, 검지와 중지로 잡는 방법.
⑶. 악관법(握管法)
⑷. 촬관법(撮管法)
▷ 지실장허(指實掌虛) : '지실'이란 다섯 손가락이 각각 그 임무를 다하고 협력하여서 붓대를 꽉 잡아 힘이 손가락을 통하여 붓끝에 이르도록 하는 것이다. 힘쓰는 것을 고르게 한다. '장허'는 다섯 손가락이 협력하여 붓대를 잡음과 동시에 손바닥을 비게 하고 손가락을 긴밀하게 하여야 하며 손바닥에 붙여서는 안 된다. 운용을 편하게 한다.
운필법
⑴. 지운법(指運法): 붓을 잡은 오른 손목 아래를 왼쪽손으로 받쳐서 쓰는 방법.
⇒침완법(枕腕法)→팔뚝을 받치는 방법.
⑵. 완운법(腕運法): 오른 손의 팔꿈치는 책상 위에 대고 손목을 들고 쓰는 방법.
⇒제완법(提腕法)
⑶. 주운법(肘運法): 팔꿈치를 완전히 들고 팔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쓰는 방법.
⇒현완(懸腕)→팔뚝을 드는 법. 현주(懸肘)→어깨를 드는 법.
필법용어
⑴. 필봉(筆鋒): ①붓의 끝 부분을 가리키는 말로써 뾰족한 모양을 이루는 곳.
②글자의 필획 끝 부분을 지적한 것으로써 필획의 뾰족한 모양을 이루는 곳.
⑵. 노봉(露鋒): 필봉이 필획의 밖으로 드러난다.
⑶. 장봉(藏鋒): 필봉이 필획의 안에 감추어진다.
⑷. 역봉(逆鋒): 기필을 할 때 붓을 거슬러서 들어가는 방법으로 이루어진 필법.
⑸. 회봉(回鋒): 점이나 획의 마지막 부분에 이르렀다가 다시 되돌아 거두어들이는 필법.
⑹. 중봉(中鋒): 글씨를 쓸 때 붓의 가장 핵심이 되는 한가운데 부분이 항상 필획의 한가운데를 지나도록
하는 필법.
⑺. 측봉(側鋒): 운필을 할 때 필봉이 점획의 상·하 혹은 좌우의 일면에 치우쳐 지나가는 필법.
⑻. 전(轉): 필획의 방향을 바꾸고자 할 때 지면에 닿은 붓털의 면이 꺾이지 아니하고 필획을 굴려서 방향
을 바꾸는 필법.
⑼. 절(折): 필획의 방향을 바꾸고자 할 때 지면에 닿은 붓이 한 면에서 다른 면으로 바뀌는 필법.
⑽. 제(提): 붓을 움직여 획을 쓸 때 붓을 살짝 들어 운필하는 방법.
⑾. 안(按): 붓을 움직여 획을 쓸 때 붓을 눌러 운필하는 방법.
⑿. 원필(圓筆): 필획과 다른 방향으로 붓을 대서 붓끝을 돌려서 방향을 바꾸어 나가는 필법.
⒀. 방필(方筆): 필획과 다른 방향으로 붓을 대서 붓끝을 꺾어서 방향을 바꾸어 나가는 필법.
임서와 모서
⑴. 임서(臨書): 범본이 되는 책을 보고, 그 글자의 점과 획, 결구, 필의에 따라 공부하는 방법.
⑵. 모서(摹書): 범본의 글씨 위에 기름종이를 덮어 놓고 다시 화선지를 기름종이 위에 덮고 쓰는 방법.
작품의 형식
⑴. 중당(中堂): 전지 그대로 사용하여 글씨를 쓴 작품.
⑵. 조폭(條幅): 전지를 길게 이등분하여 세로로 글씨를 쓴 작품.
⑶. 대련(對聯): 세로로 길게 자른 두 장의 종이에 서로 대구가 되는 글을 써서 한 쌍으로 만든 작품.
⑷. 연병(聯屛): 길게 자른 여러 장의 종이에 쓴 작품(일반적으로 짝수를 많이 씀).
⑸. 횡폭(橫幅): 전지를 가로로 하여 글씨를 쓴 작품.
⑹. 장권(長圈): 아주 긴 종이를 두루마리 형식으로 쓴 작품.
⑺. 두방(斗方): 종이를 네모지게 잘라서 쓴 작품.
⑻. 책혈(冊頁): 글씨나 그림을 한 장씩 표구하거나 붙여서 책으로 엮은 것.
⑼. 선면(扇面): 합죽선.
⑽. 편액(扁額): 현판.
화선지의 천·지·변
⑴. 천(天): 화선지 위의 여백.
⑵. 지(地): 화선지 아래의 여백.
⑶. 변(邊): 화선지의 좌우 여백.
⑷. 정문(正文): 작품에 쓴 내용.
⑸. 계격(界格): 글씨를 쓴 여백에 세로나 네모꼴로 긋는 선.
제관(題款)
한 폭의 서예작품이나 그림에 작자나 또는 그 작품의 내용에 관계가 있는 내용을 쓴다. 제관을 쓸 때는 작품의 여백에 따라 관련된 내용을 정문(正文)의 서체와 서로 적절하게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서체를 정문의 글자보다 작은 크기로 써서 작품의 풍격을 떨어뜨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1, 단관(單款): 하관에만 씀.
2, 쌍관(雙款): 상관과 하관을 포함한다.
3, 상관(上款): 일반적으로 작품의 시작 부분에 위치하거나 본문 아래에 접하여 쓰기도 한다.
내용은 대부분 글씨를 구하는 사람의 성명이나 칭호를 쓰고, 그 아래에 겸손한 말투의
아촉 · 혜존(惠存) · 교정(敎正) 등을 붙이기도 한다.
4, 하관(下款): 일반적으로 작품의 끝에 쓴다. 내용은 작가와 출처, 심지어 서사할 때의 상황 · 심정 · 방
식 · 느낌 등을 쓰기도 한다.
때로는 아예 인장을 제관으로 대신하기도 한다.
영인(鈴印)
⑴. 성명장(姓名章): 제관이 끝나는 아래쪽에 찍는다.
⑵. 자호장(字號章): 성명장 아래쪽에 찍는다.
⑶. 재관장(齋館章): 자호장 아래쪽에 찍는다.
⑷. 인수장(引首章): 본문 오른쪽 위 1~2번째 글자 사이에 찍는다.
⑸. 압각장(押角章): 본문 오른쪽 아래에 찍는다.(詩文, 吉語, 成語, 肖形)
♣ 인장의 크기는 보통 제관의 크기와 같거나 또는 약간 작게 한다.
인장이 서예작품에 도입된 것은 송나라 이후이고, 청나라에 이르러 인장이 비로소
서화작품의 중요한 내용이 되었다.
낙관
落成款識의 준말.
‘관지’는 청동기의 명문이 음
주된 것을 ‘관’이라 하고, 양주된 것을 ‘지’라고 함. ‘낙성’이란 건물의 낙성식과 같이 이루어 떨어졌다 곧 완성되었다는 뜻.
그러므로 ‘낙성관지’는 음·양각으로 전각한 ‘성명인’과 ‘자호인’을 완성된 작품에 최종적으로 찍어 마무리 지음으로써 그 작품을 완성하였다는 뜻이다.
♣ 참고문헌 ♣
『한글궁체 옥원중회연字典』임인선 편, 다운샘, 2005
『조선왕조실록으로 보는 한글궁체사』한국한글서예연구회, 다운샘, 2009
『궁체이야기』박정자 외 공저, 다운샘, 2001
『簡明 중국서예발전사』워싱화 저·김희정 역, 다운샘, 2007
『필법과 장법』구진중 저·김희정 역, 다운샘, 2007
『서예란 어떤 예술인가』김희정 저, 다운샘, 2007
『서예 이론과 실기』배옥영 편저, 다운샘, 2003
「초등학교 서예 교육에 대한 고찰」채희봉,『무심연묵』창간호, 2001
『서사기법』주준걸 저 곽노봉, 이정자 옮김, 다운샘,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