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편지글 원전

 

 

 

 

 

 

훈민정음 언해본 서문은 

언해본체인 자고비금 서체('ㅇ'은 예외)를 응용하고

현대어는 민체로 작업하였습니다~~

위의 작품에 사용한 전각작품

위의 작품 중에 판본체 아홉째 줄 "아''"를 "아''"로 잘 못 씀

 

 

안민가

임금은 아버지요

신하는 사랑하시는 어머니요

백성은 어리석은 아이라고

하실진대 모든 백성들이 사랑을 알리라.

대중을 살리기에 익숙해져 있기에

이를 먹여 다스릴러라.

이 땅을 버리고 어디로 가겠는가

할진대 나라 보전할 것을 알리라.

아아 임금답게 신하답게 백성답게

한다면 나라가 태평을 지속 하느니라.

 

 

신라 경덕왕 이십사년 충담대사가 지은 안민가를 소재로

고어는 판본체로 현대어는 민체로 작업을 하여 보았습니다

 

 

위 작품에 사용한 전각작품- 梅매

 

 

 

매 화(이신의 님의 四友歌 三: 梅)

 

꽃이 무한히 많되 매화를 심은 뜻은

눈 속에 꽃이 피어 한 빛인 것이 귀하도다.

하물며 그윽한 향기를 아니 아끼고 어쩌리.

 

 

한국서예협회 초대작가 전에 출품하기 위해 

협회에서 제시된 명제와 규격을 선택하고

이신의 님의 「매화」를 민체로 작품하였습니다

궁체 반흘림 작품
전각 작품

 

 

민체 작품

 

 

 

「어느 봄날」 (황베드로 동요에서)

돌배꽃 꽃잎에 싸여

어느새 잠이 든 낮달

잠 깨워 데려갈 구름 없어

꽃 속에 낮잠을 잔다

꿀벌아 멀리멀리 가거라

선잠 깬 낮달이 울면서

멀리 떠날라

돌배꽃 꽃잎에 싸여

어느새 잠이 든 낮달

잠 깨워 데려갈 구름 없어

꽃 속에 낮잠을 잔다

 

 

2024년 제63회 갈물한글서회 회원전에 출품하기 위하여

궁체 반흘림으로

황베드로 동요 「어느 봄날」에서 글감을 얻어 작품을 마무리 지었습니다

 

먼저 작업해 두었던 민체 작품도 함께 게시합니다~~^^

 

 

 

 

 

술에 취해(醉後취후)

(정지상鄭知常)동문선東文選19

 

복사꽃 붉은 빗속 새들은 재잘재잘,

집을 두른 푸른 산엔 여기저기 아지랑이,

이마 한 편 검은 사모 귀찮아 그냥 둔 채,

꽃 핀 언덕 취해 누워 강남을 꿈꾸노라.

 

桃花紅雨鳥喃喃 도화홍우조남남

繞屋靑山閒翠嵐 요옥청산간취람

一頂烏紗慵不整 일정오사용부정

醉眠花塢夢江南 취면화오몽강남

 

 

한국고전번역원의 "고전산책 메일링 서비스"로 받은

단국대 윤재환 교수가 쓴 

한시감상 243 "내가 꿈꾸는 삶"에서

정지상의 한시 "취후"를 작품하였습니다

 

 

 

 

     

 

 우청雨靑 임인선林仁仙

       solthl@hanmail.net

 

      현재

      · 대한민국서예대전 초대작가 및 심사역임

      ·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 기념공모전 초대작가

      · 송파청소년센터(성인부) 한글서예 강사

      · 한국서예협회 회원, 갈물한글서회 회원

 

      전시

      · 한국서예협회 초대작가전(2009~현재)

      ·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기념공모전 초대작가(2009~현재,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

      · 갈물한글서회전(1998~현재) 등등 전시

 

      도서출판

      ·한글궁체 옥원중회연자전2005, 다운샘

      ·역주 옥원중회연212007, 다운샘

      ·역주 구운몽2008, 다운샘

      ·역주 십이봉기(공역) 2009, 다운샘

      ·역주 완월회맹연(공역) 2010, 다운샘

      ·궁체대자전2011, 다운샘

      ·역주 동의보감(공역) 2011, 다운샘

      ·순원왕후편지글(공역) 2013, 다운샘

      ·한국 근현대210(공편) 2016, 다운샘

      · 한글서예작품집묵향 담은 한글서예(공저) 2017, 다운샘

 

       작품소장처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관(2008)

      · 서울대학교 규장각(2010)

      · 오색빛깔 단청(2010, 책 제목 題字)

      · 내 마음의 화첩(2013, 책 제목 題字)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