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서예 궁체 정자로 윤선도님의 연시조 오우가를 글감으로 하여

1연을 한폭으로 전각작품과 함께 작업하여 6폭 병풍작품을 완성하였다

네 귀에는 박쥐문양을 새겨 찍었다

전통문양에서 박쥐는 부귀와 五福(壽수, 富부, 康寧강녕, 攸好德유호덕:덕을 지키기를 낙으로 삼음, 考終命고종명:명대로 살다가 편하게 죽음)을 가져온다고 한다

 

 

 

 

 

윤선도님의 오우가 1연

 

 

五友歌(오우가) : 1연(전각작품)

 

 

 

 

 

윤선도님의 오우가 2연 : 水(물)

 

 

水(물) : 2연(전각작품)

 

 

 

 

윤선도님의 오우가 3연 : 石(바위)

 

 

石(바위) : 3연(전각작품)

 

 

 

 

 

윤선도님의 오우가 4연 : 松(소나무)

 

 

松(소나무) : 4연(전각작품)

 

 

 

 

 

윤선도님의 오우가 5연 : 竹(대나무)

 

 

竹(대나무) : 5연(전각작품)

 

 

 

 

 

윤선도님의 오우가 6연 : 月(달)

 

 

月(달) : 6연(전각작품)

 

 

 

 

 

위 작품에 사용한 박쥐문양 전각작품

 

 

 

 

 

35cm x 59cm

 

 

 

 

 

 

 

 

 

 

                      「오우가(윤선도)

 

 

                             (서시)

                          내 벗이 몇인가 하니 수석과 송죽이라

                          동산에 달 떠오르니 그것이 더욱 반갑구나

                          두어라 이 다섯밖에 또 더하여 무엇하리.

 

 

                             (물)

                          구름 빛이 좋다하나 검기를 자주 한다

                          바람소리 맑다하나 그칠 때가 많은지라

                          좋고도 그칠 때가 없기는 물뿐인가 하노라.

   

                            (바위)

                          꽃은 무슨 일로 피면서 쉬이 지고

                          풀은 어찌하여 푸르듯 누르나니

                          아마도 변치 않는 것은 바위뿐인가 하노라.

 

 

                             (소나무)

                          더우면 꽃피고 추우면 잎 지거늘

                          소나무야 너는 어찌하여 눈과 서리를 모르느냐

                          땅속깊이 뿌리가 곧은 줄을 그것으로 아노라.

 

 

                             (대나무)

                          나무도 아닌 것이 풀도 아닌 것이

                         곧기는 누가 시켰으며 속은 어찌 비었는가

                         저렇게 사철을 푸르니 그를 좋아 하노라.

 

 

                             (달)

                         작은 것이 높이 떠서 만물을 비추니

                         밤중에 밝은 빛이 너만 한 것 또 있겠는가

                         보고도 말이 없으니 내 벗인가 하노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