印章의 용어 해설
▶ 각도(刻刀): 인장을 새길 때 사용하는 칼.
▶ 각석(刻石): 글자와 문양 따위를 돌에 새김.
▶ 감장인(鑑藏印): 서화 작품에 소장 및 감상 여부를 알리기 위해 날인한 인장.
▶ 갑골문(甲骨文): 거북의 등껍질이나 짐승의 뼈에 새긴 중국 고대의 상형문자.
▶ 고인(古印): 옛 인장.
▶ 과안인(過眼印): 명품을 감상한 뒤에 찍는 인장.
▶ 관자(款字): 인변에 새긴 글자. 제작자의 이름, 제작 연월일 등을 기록.
▶ 관지(款識): 낙성관지(落成款識)의 줄임말. 옛날 솥, 그릇 등에 새긴 글씨나 표지. 款은 陰文이며, 識는 陽文.
▶ 국새(國璽): 나랏일에 사용하는 官印.
▶ 금문(金文): 종(鐘)이나 정(鼎), 이(彛)나 기(器)에 새긴 문자.
▶ 금석문(金石文): 청동기나 돌에 새긴 문자.
▶ 길상인(吉祥印): 印文에 축원이나 길한 말을 새긴 인장.
▶ 길어인(吉語印): 印文에 축원이나 길한 말을 새긴 인장.
▶ 낙관(落款): 낙성관지의 줄임말. 글씨나 그림을 완성한 후 자신의 이름이나 호를 쓰고 인장을 찍는 것.
▶ 낙관인(落款印): 서화의 낙관 아래에 찍는 인장.
▶ 뉴(뉴): 인장의 꼭지.
▶ 다면인(多面印): 여러 면에 인문이 새겨진 인장. 주로 五面印과 六面印.
▶ 당호인(堂號印): 인문에 당호를 새긴 인장.
▶ 도장(圖章): 서예작품에 날인하는 습관 때문에 생긴 말로서 흔히 인장을 이와 같이 부름.
▶ 동인(銅印): 구리로 만든 인장.
▶ 모각(摹刻): 본 따서 그대로 새김.
▶ 반통인(半通印): 장방형의 인장.
▶ 방각(傍刻): 인장의 측면에 새기는 것. 측관(側款).
▶ 방형인(方形印): 네모진 방형의 인장.
▶ 배관인(拜觀印): 서화를 감상하고 난 뒤에 찍는 인장.
▶ 백문(白文): 인문을 '요' 형태로 음각하여 인장의 문자가 희게 찍힘.
▶변관(邊款): 인변에 題記 등을 새김. 측관(側款), 인관(印款)이라고도 부름.
▶ 별호인(別號印): 인문에 別號를 새긴 인장.
▶ 보(寶): 황제나 임금의 인장.
▶ 보인(寶印): 국새(國璽), 어보(御寶), 옥인(玉印).
▶ 봉니(封泥): 문서를 봉할 때 사용하는 진흙덩이.
▶ 봉인(封印): 봉한 자리에 인장을 찍는 것.
▶ 부신(符信): 글자를 적고 도장을 찍은 나뭇조각이나 두꺼운 종잇조각을 둘로 쪼개어 서로 나누어 가졌다가 뒷
날에 서로 맞추어서 증표로 삼던 물건.
▶ 사구인(詞句印): 인문에 詩句나 고사성어, 명언 등 좋아하는 문장을 새긴 인장.
▶ 사령인(四靈印): 인문에 문자와 도형을 결합시켜 새긴 인장.
▶ 삼과조(三顆組): 인수인(引首印), 성명인(性名印), 아호인(雅號印)을 합쳐서 부르는 말.
▶ 새(璽): 국새의 줄임말.
▶ 서각(書刻): 현판이나 비석 등에 글씨를 새김.
▶ 서간인(書簡印): 서신 왕래 시 사용하던 인장.
▶ 서관(署款): 서화 작품에 표시하거나 타인에게 신뢰를 얻고자 서명하는 것.
▶ 서압인(署押印): 싸인을 새긴 것으로 화압인(花押印)이라고도 함.
▶ 석고문(石鼓文): 북같이 만든 돌에다 새긴 문자.
▶ 성명인(性名印): 인문에 성명을 새긴 인장.
▶ 성어인(成語印): 사성어를 새긴 인장.
▶ 수결(手決): 오늘날의 싸인으로 성명이나 직함 아래에 인장 대신 자필로 쓰던 일정한 字形.
▶ 수인(首印): 서화의 앞부분에 찍는 인장. 引首印, 頭印이라고도 함.
▶ 수장인(收藏印): 자기의 수장물과 장서에 날인할 때 사용하는 인장.
▶ 쌍투인(雙套印): 두 개의 인장이 한 벌을 이루는 인장. 1모 1자의 인.
▶ 아호인(雅號印): 인문에 호를 새긴 인장. 주로 주문양각(朱文陽刻).
▶ 압각인(押脚印): 작품의 아래쪽 구석에 찍는 인장.
▶ 양각(陽刻): 글자를 볼록판으로 새기는 것.
▶ 양문(陽文): 인문을 '철' 형태로 양각하여 인장의 문자가 붉게 찍힘.
▶ 어보(御寶): 임금의 도장인 玉璽와 玉寶.
▶ 와당인(瓦當印): 기와의 수막새에 새겨진 문양이나 문자를 응용하여 새긴 인장.
▶ 옥새(玉璽): 임금이 나랏일에 국가의 표상으로 사용하는 인장.
▶ 원인(原印): 모각할 때 인보에 있는 새길 대상의 인장.
▶ 유인(遊印): 서화의 빈 공간을 메우기 위해 찍는 인장.
▶ 음각(陰刻): 글자를 오목판으로 새기는 것.
▶ 인고(印稿): 인장을 새길 때 인면에 써넣을 글자를 구성하는 원고.
▶ 인관(印款): 인변에 새겨진 題記, 邊款, 側款이라고도 함.
▶ 인구(印矩): 서화에 낙관할 때 인장을 정확하게 찍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
▶ 인뉴(印뉴): 인장의 꼭대기에 조각 또는 주조된 각종 조형물. 인비(印鼻)라고도 불림.
▶ 인니(印泥): 인주(印朱).
▶ 인면(印面): 인장의 면.
▶ 인문(印文): 인장에 새긴 문장.
▶ 인변(印邊): 인문을 제외한 인장의 가장자리 면.
▶ 인보(印譜): 인장을 찍어서 모아 엮은 책.
▶ 인수인(引首印): 작품의 오른쪽 위편에 찍은 인장.
▶ 인신(印信): 도장, 官印 등의 총칭.
▶ 인장(印章): 도장 또는 印信이라고 함.
▶ 인존(印存): 인보(印譜)의 높임말.
▶ 인주(印朱): 도장을 찍을 때 찍어 쓰는 재료.
▶ 인영(印影): 인장을 날인한 흔적.
▶ 인육(印肉): 인주(印朱), 인니(印泥).
▶ 인재(印材): 인장의 재료로서 옥, 금, 동, 나무, 돌 등이 있음.
▶ 인전(印箋): 도장만 찍는 전지(箋紙).
▶ 임고(臨古): 옛 선인들의 작품을 배우기 위해 그대로 따라 새김.
▶ 자인(字印): 이름이나 아호 이외에 字를 새긴 인장.
▶ 자호인(字號印): 인문에 자 또는 호를 새긴 인장.
▶ 장서인(藏書印): 자기가 수장하고 있는 서적에 찍는 인장.
▶ 재관인(齋館印): 인문에 서재 및 별장의 이름을 새긴 인장.
▶ 전각(篆刻): 인장에 문자를 써서 새기는 행위나 인장 자체.
▶ 전사(篆寫): 전각에 글자나 문장을 옮기는 것.
▶ 주문(朱文): 양각으로 새겨 도장의 문자가 붉게 찍히는 것.
▶ 주문인(朱文印): 양각된 인장.
▶ 주묵(朱墨): 붉은 빛깔의 먹.
▶ 주백간문인(朱白間文印): 하나의 인면에 주문과 백문을 혼합하여 새긴 인장. 주백상간인(朱白相間印)이라고도
함.
▶ 주소인(住所印): 주소 성명을 새긴 인장.
▶ 주인(鑄印): 주물(鑄物)로 만든 인장.
▶ 지증인(持贈印): 서화나 책 등을 선물할 때 찍는 인장.
▶ 착인(鑿印): 작은 옥새나 동장에 구멍을 뚫어 만든 인장.
▶ 초형인(肖形印): 인문에 새, 물고기 등의 동물 문양을 새긴 것.
▶ 측관(側款): 인장의 측면에 題記 등을 새김. 방각(傍刻), 변관(邊款), 인관(印款).
▶ 치인(治印): 인장 재료를 다루거나 새기는 것.
▶ 투인(套印): 크기가 다른 몇 개의 인장을 한 세트로 합한 인장. 자모인(子母印)이라고도 부름.
▶ 표자인(表字印): 인문에 字를 새긴 것.
▶ 한문인(閑文印): 인문에 시구(詩句)나 고사성어, 명언 등을 새긴 것.
▶ 합동(合同): 문서를 계약할 때 사용하던 인장.
▶ 화압인(花押印): 성명을 문자 대신에 도형이나 부호 등의 형태로 변형시켜 새긴 인장.
♣ 참고문헌 ♣
『조선왕실의 인장朝鮮王室 印章』, 국립고궁박물관, 그라픽네트, 2006
'♧ 한글서예 이론 > ♣ 실기를 위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서예의 실기를 위한 상식 (0) | 2012.01.0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