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의 특징
서예의 특징
"서예는 문자를 대상으로 한 종합예술이다. 그래서 서예는 문자가 지닌 원초적인 기능인. 의사전달
에만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 만약에 서예가 문자의 의사전달 기능에만 중점을 둔다면 서예는 이미 예
술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서예가 예술성을 지니고 있다고 해서 미술이나 또는 조각 등과 동일한
성격을 지닌 예술도 아니다. 서예는 어떤 면에서는 그림이나 조각과 문자의 중간에 위치하는 예술의
성격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서예가 다른 예술들과 차이가 있다면 그것은 서예가 '문자'라고 하는 독립
된, 분명한 대상이 있다는 점일 것이다. 문학도 문자를 매개체로 한다지만 그것이 표현하는 세계는 서
예와는 전혀 다른 것이다. 그래서 서예는 미술 속에 부속되어 있는 예술이 아니라 완전히 독립된 하나
의 예술인 것이다.
에술은 과학이나 학문과는 대립되는 특성을 지닌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서예는 예술적인 특
성을 지니면서도 한편으로는 학문적이며 과학적인 특성을 지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서예에서 직접
다루는 대상이 문자이기 때문에 문자를 과학적으로 다루는 학문인 문자학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뿐만 아니라 서예에서는 단순한 문자를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문자의 조합과 배열로 된 아름다운 글
을 대상으로 하려 하기 때문에, 과학적인 학문인 언어학과 예술성을 지닌 문학과도 깊은 연관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주지하는 바와 같이 문자나 글을 예술적으로 승화시키기 때문에 그것은 미술이나 조
각과 같은 예술과도 연관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서예는 인류의 의사소통을 가능케 하는 말과 문자의
학문적인 속성과, 그림이 지니고 있는 예술성의 모든 특징들을 종합하여 표현하는 종합예술인 것이
다. 앞에서 서예가 문자를 대상으로 한 종합예술이며 그래서 독립된 하나의 예술이라고 한 의미는 이
러한 데에 근거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서예의 극치는 그 글씨에서 그 글씨를 쓴 사람의 목소리가 들려야 하고(언어학
적), 그 글의 의미와 감정이 정확히 전달되어야 하며(문자론적, 문학적), 심지어는 그 내용이 화상 이
미지로도 환기될 수 있을 정도로 전달성이 높아야 한다(미술적)고 생각한다. 이것은 문학작품인 詩가
문자로만 되어 있지만, 그 문자를 읽으면서 시인의 소리가 들리는 듯하고, 그리고 詩畵가 떠오르는 것
과 같은 동일한 맥락에 속할 것이다."
♣ 홍윤표,「디지털 시대의 한글 서체에 대하여」세종한글서예큰뜻모임 창립 2주념 기념
제2회 한글서예전국학술대회, 2001. 4. 3 ♣